과학기술 / / 2024. 3. 25.

생각 만으로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 BCI기술 현재 개발 단계는

728x90

내 생각대로 컴퓨터가 움직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상상 속에서만 가능할 것 같았던 일이 실제 일어날지도 모르겠습니다. 바로 BCI기술이 이를 가리키는 말인데요. BCI기술은 사람의 뇌파나 뇌세포의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나 기계와 연결하여, 생각만으로 기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장애인의 보조 기구 조작이라던지 게임 및 가상현실 조작, 의료 분야에서의 재활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고 개발된다면 미래에는 우리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술이 될 수 있겠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CI기술의 활용

이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면 가장 필요로 하고 편리해질 부분이 바로 의료분야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의료 분야에서 BCI기술은 특히 재활 치료와 장애인 보조 기구 조작에 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뇌졸중 환자의 재활 치료나 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루게릭병 같이 말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이 기술을 적용하여 생각을 문자나 음성으로 전환하여 환자와 보호자, 의사와의 소통도 가능하게 됩니다. 더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가능해지겠네요. 이외에도 게임이나 가상현실 조작에도 활용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기기를 생각만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겠죠. 생각만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거나 가전제품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이 부분은 특히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범죄자의 생각을 읽음으로써 오판 없이 범죄자를 검거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BCI기술은 앞으로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바꿀 수 있는, 그보다 더 나아가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기술이 될 수 있습니다.

BCI기술의 원리

아시다시피 뇌는 뉴런 간의 전기적 활동을 통해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 기술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뇌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 후 전극을 통해 뇌파를 측정하고 감지된 신호는 데이터로 변환되어 컴퓨터에 전달되며 이 데이터는 알고리즘과 뇌의 신호와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의도나 명령을 인식하게 됩니다. 해석된 신호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명령으로 변환되어 생각만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말로만 해서는 어렵지 않을 수 있지만 이것이 현재로서도 가장 큰 해결과제이기도 합니다.

BCI기술의 단점

생각만으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아주 큰 장점이라 한계점에 대해 이야기해보자면 BCI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뇌 신호의 정확한 해석과 신뢰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선 이 부분이 완벽하게 개선되어야 하는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사용자마다 뇌파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BCI기술을 개인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과 시간,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술은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극복해야 할 연구문제도 뚜렷이 존재하네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