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VS 5G
이론상으로 따져 보았을 때, 우선 가장 큰 차이점은 속도와 용량입니다. 5G는 LTE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LTE는 초당 1기가 비트(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반면, 5G는 이론적으로 최대 초당 20기가 비트(Gbps)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5G가 LTE보다 무려 20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5G는 LTE보다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시에 수많은 기기를 지원하고, 초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가상현실, 자율 주행 차량 등의 고용량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지연 시간입니다. 5G는 LTE보다 훨씬 짧은 지연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LTE의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평균적으로 50밀리 초(ms)의 시간이 걸리지만, 5G는 이론적으로 1밀리 초(ms) 미만의 지연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 통신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어 원격 수술, 자율 주행 차량,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게임 등에 있어서 큰 장점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5G는 LTE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수의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물인터넷(IoT)의 발전에 크게 기여합니다. 5G는 한 헥타르당 최대 백만 개의 기기를 지원할 수 있어,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IoT 환경에서의 활용이 기대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5G가 우리의 일상생활과 산업에 어떻게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5G의 단점
하지만 2024년 현재까지도, 5G는 현재 LTE에 비해 전파 범위가 좁아, 특히 실내나 건물 사이 등에서는 5G 신호의 수신이 어려울 수가 있습니다. 게다가 통신망 구축 현황에 따라 서울, 수도권 등 주요 도시를 제외한 곳이라면 LTE에 비해 불안정한 연결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직까지도 많은 커뮤니티에서 5G 네트워크를 사용하면서 배터리가 광탈되고 있다는 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5G 통신이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하고 처리하는 만큼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5G 수신이 불안정한 곳이라면 LTE 전환이 되길 반복하면서 더 많은 배터리를 소모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로는 5G 데이터 요금제는 LTE에 비해 비싼 편입니다. 약 1.5배 정도 차이나는 국내 요금제 때문에 이용자들의 불만도 많이 있었죠.
5G의 현실
그러다가 작년 5월, 5G가입자들을 더 늘리기 위해 실제 속도보다 과장해서 부풀렸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실제로도 LTE와 5G 속도 체감을 못하는 이용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로는 목표 주파수보다 훨씬 적게 확보해서 생긴 일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통신사는 신규 가입자들을 5G 요금제로 강제 가입하게 하는 조건을 없애기도 하고, 합리적인 5G 요금제를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도 LTE 가입자수가 증가하기도 했다네요. 앞으로 인터넷의 변화는 어떻게 생길지 궁금해지네요.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모니터, IPS vs VA패널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1) | 2024.02.07 |
---|---|
머리에 쓰는 컴퓨터!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헤드셋 (1) | 2024.02.05 |
호버카(Hover Car), 최신 과학 기술 실현 가능할까? (2) | 2024.02.01 |
미래의 대중교통, 초고속 튜브 열차 (0) | 2024.01.31 |
비운의 1인용 교통수단, 세그웨이(Segway) (0) | 2024.01.30 |